부동산 시장 흐름 파악하기
한동안 뜨거웠던 부동산 시장(2020~2021년)이
정부의 부동산 규제 및 금리 인상등으로 인하여 얼마간 차갑게 얼어 붙었다.(2022.9~2023.6 정도)
최근 일부 상승 흐름이 나타나며 보합 느낌으로 가고 있다.
현재 및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 흐름은 어떨지 여러 가지 지표들을 활용하여 파악해보았다.
투자 관점에서 지금 시장이 어떤 단계에 있는지 궁금해진다.
1. 매물증감 파악 (출처: 아실) - 부동산 선행지표 ( 부동산 흐름을 한달 정도 선행한다.)
- 전국적으로 매물이 증가되는 지역이 많다.
- 최근의 동향은 매물이 많이 증가되고 있다. ( 매물이 감소하는 시점이 투자에 적합한 시점이다.)
2. 전세가가 상승하는 지역이 있는 지 파악 (기간: 2022.1월 ~2023.10월)
전세가 상승이 있어야 매매가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전세가격지수 : 2022년 01월 10일 기준값 100 (※ 출처 : KB 부동산 )
전세 가격변동은 전국적으로 하락세이다.
일부지역제외( 강원도 )
3. 매매지수, 전세지수 비교:
매매지수가 전세지수보다 하락되어 내려가는 지점이 선진입하기 좋은 시점이다
매매가가 전세가보다 내려오는 시점이 투자에서 좋은 매수 포인트이다.
4. 시장강도 (출처: 부동산 지인 ) : 부동산 선행지표 ( 부동산 흐름을 몇 주 ~ 몇 달정도 선행한다.)
- 시장강도가 0~30 : 그 지역의 대장아파트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 시장강도 100이상 ~ : 2~3급지 아파트도 따라서 상승장에 돌입한다.
- 시장강도 300이상: 불장 - 강한 매수세를 동반하여 매수자가 줄지어 대기중인 과열기.
5. 매수심리 데이터 파악
- 아실데이터를 참고한다.
불장일때의 매수심리는 100을 넘는다.
강남권의 경우 2020년7월에 149 의 매수심리를 기록한 바 있다
최근의 매수심리를 파악해보면
전국적으로 25~35 정도의 매수심리 수치를 나타낸다.
예외로 제주, 강원도는 40~50 정도의 매수심리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5. 추후 exit 을 생각한다면 2년 후의 공급이 많지 않은 지역...
'부동산 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과 해제, 토호제 뜻 (2) | 2025.03.20 |
---|---|
청약홈 (0) | 2025.03.19 |
2024 건설사 주요 수주 사업장 및 수주 규모 (1) | 2025.03.18 |
예금자 보호, 보호대상 금융회사 vs 비보호대상 금융회사 (0) | 2024.08.09 |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배제 기간 및 매물증가 (0) | 2023.11.03 |
올림픽파크 포레온(둔촌 주공) 무순위 접수 (0) | 2023.03.11 |
강남4구의 입주 예정물량 (0) | 2023.02.15 |
미국 기준금리 0.25%p 인상‥'속도 조절' 기조 유지? (0)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