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뉴스

[경제 정책] 미국 매파(Hawk)와 비둘기파(Dove) 용어 정리

2025. 3. 11. 16:28
반응형

[경제 정책] 미국  매파(Hawk)와 비둘기파(Dove) 용어 정리

경제 뉴스에서 ‘매파적 발언’, ‘비둘기파 기조’라는 표현을 자주 접하지만, 정확한 의미가 궁금하신가요?

 

이 용어들은 주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을 설명할 때 사용되며,

금리와 인플레이션, 경제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매파와 비둘기파의 차이점, 경제 정책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미국의 통화정책(매파 , 비둘기파)

 

 


 

경제 정책에서 매파(Hawk)와 비둘기파(Dove)라는 개념은 주로 통화정책(금리, 물가 안정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 매파(Hawk) – 긴축적 통화정책 (금리 인상 선호)

- 인플레이션 억제를 최우선 목표로 삼음  
-
중앙은행(예: 미국 연준, Fed)이 금리를 인상하고, 통화 공급을 줄이는 정책을 지지  
- 경제 성장 속도가 너무 빠르면 인플레이션이 심해지고 자산 거품이 생길 수 있다고 경고  
- 대표적 인물: 폴 볼커(前 연준 의장, 1980년대 초 강력한 금리 인상)  
- 결과:  
  - 금리 상승 → 대출 비용 증가 → 소비 및 투자 감소 → 경제 성장 둔화  
  - 하지만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을 잡는 효과 있음  

✅ 예시:  
- 2022~2023년 미국 연준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기준금리를 빠르게 올린 사례  




 📌 비둘기파(Dove) – 완화적 통화정책 (금리 인하 선호)

- 경제 성장과 고용 확대를 더 중요하게 여김  
-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고, 통화 공급을 늘려 경기 부양을 유도  
- 경기가 침체될 위험이 있으므로 금리를 너무 빨리 올리면 안 된다고 주장  
- 대표적 인물: 벤 버냉키(前 연준 의장,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양적완화 시행)  
- 결과:  
  - 금리 인하 → 대출 비용 감소 → 소비와 투자 증가 → 경제 성장 촉진  
  -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위험이 있음  

✅ 예시:  
-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연준이 금리를 거의 0%까지 낮추고 돈을 풀었던 사례  

 

 

 

🎯 매파 vs 비둘기파 비교

 

  매파 (Hawk) 비둘기파 (Dove)
목표 인플레이션 억제 경기 부양, 고용 증가
주요 정책 금리 인상, 긴축 정책 금리 인하, 완화 정책
우려 사항 경기 침체 가능성 인플레이션, 자산 거품
대표 사례 1980년대 폴 볼커의 급격한 금리 인상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버냉키의 양적완화(QE)

 

 

 

📌 요즘 미국 연준(Fed)은?
최근(2022~2023년) 미국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매파적(긴축) 기조를 유지하며 금리를 올렸지만,

2024년도에는 금리 인하도 이루어지고 비둘기파적 움직임이 보이기도 하였다. 

 

 
 
 
 
반응형